본문 바로가기

여과 집진 장치/운전설명 및 유지보수

운전설명 및 유지보수

                       -  목   차  -

1. 개요

2. 백휠타의 운전설명

3. 백휠타의 기기설명

 3-1. 후드

 3-2. 닥트

 3-3. 털어내기 기구

 3-4. 안전장치

 3-5. 댐퍼

 3-6. 스크류 콘베이어

 3-7. 로타리 밸브

 3-8. 송풍기

4. 작업대 집진장치의 사양및 규격

5. 작업 내용

 5-1. 정지시 작업내용

 5-2. 운전시 작업내용

6. 판넬 조작 방법

7. 도면


1. 개요

   작업대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실내작업 환경에 상당한 오염을 유발시켜 작업자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 할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영향이 미쳐 배출시설에 여과집진시설

   (BAG FILTER)을 설치하여 실내 환경에 만전을 기하고자 한다.

2. 백휠타의 운전설명

   백휠타 시스템 운전은 시운전과 일상 운전으로 나눠서 생각할수 있다.

   먼저 시운전할 때에는 백휠터 시스템의 단순한 부분 체크와 길들입 운전을

   겸한 일부의 성능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 시운전시의 체크 항목

   - 송풍기의 회전방향 회전수,베어링의 진동및 온도

   - 처리가스량 및 각 개소의 압력온도

   - 계기류는 정확한 지시및 기록을 하고 있는가

   - 안전장치는 모두 제대로 작동하는가를 반복해서 확인한다

 * 일상 운전

   백휠터 시스템의 일상운전에 있어서는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적절히 조절해서

   백의 수명을 연장하여 동력비 절감에 힘쓰고 최저의 러닝 코스트로 계획된

   최고의 성능을 유지토록 해야한다

  - 계 장

    계측값은 운전과 보수에 관한 중요지참이 되므로 항상 정상적으로 정확하게

    기록해야 한다.

     1) 백의 눈막힘

     2) 백 털어내기가 어느정도 되었는가

     3) 풍량 변화

     4) 더스트의 퇴적이 있는가

     5) 털어내기 중에 더스트의 과잉투과가 있는가

     6) 백에 응축이 생기고 있는가

     7) 털어내기 중에 기구의 고장

     8) 송풍기 회전수 감소

     9) 백의 파손및 벗겨짐

    10) 댐퍼의 고장

    11) 덕트의 파손

    12) 기타

        - 털어내기 주기와 시간의 영향


털 어 내 기 주 기

털 어 내 기 시 간

길어지면

집진운전중 압손이 높아짐





집진운전에 들어가면 압손 낮아짐

. 눈막힘의 원인이 됨

. 백수명이 짧아짐

. 구동부분의 수명이 짧아짐

짧아지면

집진운전중 압손이 낮아짐

(지나치게 짧으면)

. 백수명이 짧아짐

. 항상 털어내기중의

방이 있으므로 압손이

전체로서는 높아짐

집진운전에 들어가도 그다지

낮아지지 않음

(지나치게 짧으면)

. 집진운전에 들어가면 압손이

곧 높아짐

3. 백휠타의 기기설명

 3-1. 후드

      구멍이 뚫려 있지 않는가 변형하지 않았는가를 점검한다.

      또 발생원의 분진을 포집하는 후드의 위치가 어긋나면 포집이

      효과적으로 안된다.

      또 흡입구의 댐프를 밀폐로 하면 풍압으로 닥트가 찌부러지거나

      송풍기가 서어징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도 된다.

  1)  운전시의 보수

      - 누수

      - 변형 또는 파손

      - 닥트의 접속부의 불합리

      - 분진의 퇴적

 2)   정지시의 보수

      - 누수

      - 변형과 부식및 파손

 3-2. 닥트

  1)  운전시의 보수

      - 누수

      - 플랜지로부터의 2차 공기의 누입

  2)  정지시의 보수

      - 누수

      -  변형과 파손및 부식

      - 곡관부의 마모

      - 분진의 부착과 퇴적

      - 청소

 3-3. 털어내기 기구

      순간적으로 에어 헤드에서 고압공기가 분출하여 이 분출한 고압공기는

      5-7 kg/cm2의 2차공기를 주위에서 흡입하여 다이어 프램 밸브를 지나서

      백을 털어내는 방식이다.

   1) 털어내기 기구 더스트 배출 장치만을 운전하여 백에 부착한 더스트를

      되도록 털어낸다.

   2) 벡 장착 부속품이 이완되지 않았는가 점검한다.

   3) 다이어 프램 밸브의 작동점검

   4) 타이머의 작동점검

 3-4. 댐퍼

      후드나 흡입구 가까이의 덕트에 부착되고 흡입시에 개폐로에서

      흡입풍량을 조정한다.

   1) 운전시의 보수

      - 작동 상황

      - 누수

      - 구동장치의 작동 상황

   2) 정지시의 보수

      - 누수

      - 변형및 파손

      - 작동 상황

 3-5. 스크류 콘베이어

      호퍼의 더스트를 로타리 밸브까지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1) 운전시의 보수

      - 스크류의 구동장치의 점검

      - 구동체인의 당김 상태 움직임이 스무우드 한가

      - 이상음

      - 윤활유는 충분한가

      - 배출부의 막힘

   2) 정지시의 보수

      - 스크류의 소모

      - 케이싱 내면의 부착 더스트의 청소

      - 스크류의 샤프트나 날개의 청소점검

 3-6. 로타리 밸브

      호퍼내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배출하는 것이므로 날개의 마모에 의한

      시일 불량이나 날개에 부착한 더스트로 인해 배출능력이 저하한다.

   1) 운전시의 보수

      - 시일의 불량

      - 구동장치의 점검

        . 구동체인의 당김 상태 움직임이 스무우드 한가

        . 이상음

        . 윤활유는 충분한가

        . 배출부의 막힘

      - 더스트의 배출이 정상인가

   2) 정지시의 보수

      - 날개의 부착 더스트의 청소

      - 날개의 마모 점검

      - 케이싱내면의 더스트 부착 상황 점검청소

        . 구동체인의 당김 상태

        . 윤활유의 유무

        . 배출부의 막힘

 3-7. 송풍기

   - 운전 상태의 판정

    ㄱ. 규정의 부하 상태에  있어서 연속 운전할 경우 베어링 온도의 지정이

        없을때에는 주위의 공기온도 보다 10˚C 이상 높아지면 안된다.

    ㄴ. 베아링은 원활하게 윤활되며 또한 기름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송풍기의 흡입구 부근에 설치된 베아링은 기밀에 의해서

        기름이 누설될 때가 있으므로 특히 주의 해야한다.

    ㄷ. 풍속,풍압,회전에 기인된 진동은 각부 모두 경비하여 운전이 원활해야

        한다. 특히 베아링 부에 있어서의 진동에는 주의를 요한다.

    ㄹ. 송풍기의 케이싱 맞춤새 등에서는 공기의 누출 누입이 있어서는 안된다.

    ㅁ. 동력 전달장치는 그 전달 상태가 조용하며 확실해야 한다.

    ㅂ. 규정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는 이상소음이 있어서는 안된다.

  1) 운전시의 보수

    - 베아링의 온도

    - 베아링의 진동

    - 앵커 보울트 및 라이너의 이완

    - 이상음

  2) 정지시의 보수

    - 베아링의 윤활유량

    - 임펠러의 더스트 부착 상태 점검청소

    - 임펠러의 마모및 파손

    - 앵커 보울트 및 라이너의 이완

    - 케플링의 부쉬와 보울트 이완

   가) 사 양

     . 집진방식 : 여과에 의한 시설

     . 여과방식 : AIR - PULSE TYPE

     .풍량 : 500 M3/MIN

     . 여과속도 : 1.8 M/MIN

     . 닥트유속 : 20 M/SEC

     . 처리오염 물질 : 연마분진

   나) 규 격

      1) 송 풍 기

        . 형식 : 터어보                      . 부품

        . 풍량 : 500 M3/MIN              . 샤후드 : 70A

        . 풍압 : 300 MMAQ                . 베아링 : 6,314

        . 회전수 : 1,500 RPM             . 뿌리 : C5, 8", 9"

      - 모 타

        . 출력 : 75 HP

        . 전압 : 440 V

        . 주파수 : 60 HZ

        . 극수 : 4 P

      2) 몸 체

         규격 : W2,588 * L5,026 * H7,640

      3) 휠타백

         규격 :  D156 * L2,500

         수량 : 220 개

         재질 : P.E

         특성 : 내부식성

                 내수성

                내정전성

      4) 백 케이지

         규격 :  D151 * L2,500

         수량 : 220 개

      5) 벤츄리

         규격 :  D114 * L163

         수량 : 220 개

      6) 다이아 프램 밸브

         규격 : 40 A

         수량 : 22 개

         재질 : AL DI - CASTTING

      7) 스크류 콘베이어 및 로타리 밸브

       - 스크루 콘베이어

         규격 :  D250 * L2,500

       - 로타리 밸브

         규격 :  D250

       - 동력 : 3 HP

       - 회전수 : 60 RPM

       - 주파수 : 60 HZ

       - 극수 : 4 P

5. 작업내용

  5-1. 정지시의 작업내용

   가) 작업대

       . DAMPER 조정

   나) DUCT

       . DUCT 내부수시 청소

       . 누수점검

   다) BAG FILTER

    1) 입구 덕트

       . 변형,파손,수시의 점검

       . 더스트의 부착과 퇴적 상황부 점검

       . 청소

    2) 털어내기 기기

       . TIMER의 작동점검 ( 5-6초 간격 )

       . DIAPHRAGM VALVE 의 작동점검

       . AIR FILTER 청소점검

       . REGURATOR 의 PRESSURE GAGE ( 6kg/cm2 ) 점검

   3) BAG

    . 파손의 점검

    . 스냅링의 이완 점검

    . 부착 더스트의 점검

    . VENTURI 정착부의 점검

  4) HOPPER

   . 더스트의 부착및 퇴적량의 점검

   . 파손의 점검

라) SCREW CONVEYOR

 . SCREW의 마모점검

 . 케이싱 내면의 부착더스트 청소

 . 베아링 유량 점검

  - 수량체인의 이완점검

  - 윤활유의 유량점검

마) ROTARY VALVE

 . 날개의 부착 더스트 청소

 . 케이싱 내면의 부착청소

 . 구동장치의 점검

  - 베아링의 유량점검

  - 구동체인의 이완점검

  - 윤활유의 유량점검

  - 배출부의 막힘점검,청소

바) FAN

    . 베아링의 유량점검

    . 임펠러의 점검

    . 앵커 보울트의 점검

 5-2. 운전시 작업내용

   가) DUCT

    . 2차 공기의 투입점검

    . 파손의 점검

   나) BAG - FILTER

    - 털어내기 기구

      . TIMER의 작동점검 ( 5-6초 간격 )

      . DIAPHRAGH VALVE 의 작동 점검

      . 고압 공기압및 용량의 점검 ( 6 kg/cm2 )

      . MANO METER 의 판독 기록

      . 털어내기 효과의 점검

   다) HOPPER

     . DUST 의 퇴적량 점검

   라) SCREW CONVEYOR

     . 구동장치의 점검

     . 이상음의 점검

   마) ROTARY VALVE

     . 구동장치의 점검

     . 이상음의 점검

     . 배출상태의 점검

   바) FAN

     . 베아링의 온도 점검

     . 베아링의 진동

     . 이상음의 점검

6. 판넬 조작 방법

    1) 백휠타

             MCC 판넬                                   ACC 판넬

  * 각 기능 표시

  P1 : 백휠타 ON 버턴및 램프                        V : V - METER

  P2 : 로타리 밸브 ON  "                               A : A - METER

  P3 : 멀티타이머 ON   "                              V1 : V RST  각선택 표시

  B4 : 백휠타 OFF      "                                A1 : RS,ST,TR 선택표시

  B5 : 로타리 밸브 OFF "                             WH : 계량기

  B6 : 멀티타이머 OFF  "

   * 모든 동작은 MCC 및 로칼에서 동시 작동및 정지 가능함

   * 동작방법

     MCC 내부에 ( 각명칭 표시되어 있음 : 닥트 상부 )

      1) 먼저 MAN NFB S/W 를 ON 으로 위치한다.

      2) 분기 NFB S/W (백휠타및 로타리 밸브)를 ON으로 위치한다.

      3) 조작 NFB S/W 을 ON 으로 한다.

      4) P - 1 - 3 까지 필요에 따라 작동 시킨다.

    * 확인 사항

      1) 동작 불능시 먼저 MAIN NFB S/W  트립유무

      2) 분기 NFB 트립유무 확인

      3) 조작   "          "

      4) 각 부분별 OCR 트립 확인

      5) 조작용 휴즈 점검

    2) 작업대

   * 각 기능 표시

      A1 : 형광등 램프               S1 : 형광등 ON,OFF SELECT SWITCH

      A2 :      "                         S2 :                      "

      A3 : 백열등 램프               S3 : 백열등            "

      A4 : AIR CURTAIN 램프     S4 : AIR CURTAIN               "

      A5 : HEATER 램프            S5 : HEATER                     "

    * 동작방법

      각 부분 ON,OFF는 SELECT SWITCH로 조작한다.